본문 바로가기
일본 생활/일본 생활 및 정보 리뷰

2023년 일본 평균 연봉 및 연봉 중앙값은 얼마일까? 일본 직업, 연령, 지역별 연봉 비교!

by 도쿄정대리! 2023. 6. 17.

최근 물가가 조금씩 상승하고는 있다지만, 장기간 지속된 디플레이션으로 대표되는 나라 일본의 평균 연봉은 얼마일까요? 일본 취업 및 해외 취업에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면 일본의 평균 연봉을 참고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특히 IT 경험자에 일본 기업에 취업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일본의 평균 연봉 정보를 알아보시는 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일본 평균 연봉과 연봉 중앙값이 일본어로 적혀 있는 표
2023 일본 연봉의 평균값과 중앙값

 

 

 

일본 연봉의 중앙값과 평균값

일본의 평균 연수입과 중앙값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평균값과 중앙값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빌딩 그림 2개와 각 빌딩 그림 앞에서 악수하고 있는 정장을 입은 남성을 그린 그림
평균값과 중앙값

평균값은 모든 직원의 월급을 더하여 직원 숫자대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위 사진처럼 소수의 아주 높은 고연봉자가 있다면, 실제로 대부분의 직원이 받는 금액은 300만원인데도 불구하고 평균 월급이 455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위 사진의 B 회사는 평균값이 350만 원인데요. 실제로 직원들이 가장 많이 받는 월급이 350만 원이기 때문에, 중앙값도 35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가장 많은 인원들이 실제로 받고 있는 월급이 중앙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어서 일본의 평균 연봉을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일본 연봉 평균 연수입 일본 연봉 평균 중앙값
445만엔(한화 약 4450만원) 396만엔(한화 약 3960만원)

일본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전체의 평균 연수입은 4,453,314엔, 중앙값은 3,967,314엔이었습니다. 평균값과 중앙값의 차이는 486,000엔, 중앙값은 평균값의 약 89%가 되었습니다. 이 숫자에서도 평균과 중앙값이 얼마나 다른 숫자가 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일본의 남녀별 임금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남성 482만엔 431만엔
여성 378만엔 351만엔

 

일본 남성의 평균 연수입은 4,826,514엔, 중앙값은 4,315,314엔입니다. 여성의 평균 연봉은 3,782,514엔, 중앙값은 3,514,914엔인데요. 연령이나 직종에 따라서도 연수입은 다릅니다. 특히 일본으로 이직을 하려고 하거나 이직 제안을 받은 경우에는 제시받은 연봉이 일본 전체에서 어느 정도인가 하는 하나의 기준점으로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연봉 평균 369만엔(한화 약 3690만원)
연봉 중앙값 320만엔(한화 약 3200만원)
하계상여평균 38만엔(한화 약 380만원)
연말 상여평균 38만엔(한화 약 380만원)

이 자료는 일본의 후생 노동청의 임금구조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일본의 「매월 근로 통계 조사」 표를 참고하여 여름・연말 상여액을 더해, 연봉의 평균치와 중앙값을 구했습니다. 이것은 일본의 후생노동성이 매월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 임금이나 근무시간 등, 근로에 관한 수치를 조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정사원·정직원의 급여 평균·중앙치에, 여름·연말의 상여액을 더한 것이, 일본의 평균 연봉이 되는 것인데요.여러분의 현재 연봉과 비교하면 어떤가요? 생각보다 낮아서 놀라셨나요? 일본의 2023년 연봉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으로 이직 및 취업을 하시는 분들 중에는 IT 분야로 이직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IT 이직 및 일본 취업 사이트에서 이직을 하시는 것도 좋고 가장 간단히 취업이 가능한 직원소개를 통해서 취업을 하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일본 연령·남녀별 평균 연봉과 연봉 중앙값

 

일본 연령·남녀별 평균 연봉과 연봉 중앙값

일본 나이, 성별 연봉 중앙값과 평균값이 나와 있는 그림
나이, 성별별 연봉 평균값

연령 남성/여성 평균 연봉 단위(만엔) 남성/여성 연봉 중앙값
19세 이하 219/195 208/185
20대 초반 257/229 251/223
20대 후반 303/270 280/249
30대 초반 347/309 296/263
30대 후반 393/350 310/276
40대 초반 432/384 321/286
40대 후반 465/414 325/289
50대 초반 503/448 329/293
50대 후반 504/449 325/289
60대 초반 377/336 278/247
60대 후반 330/294 258/230
70세 이하 312/278 260/231

위 그래프를 참고하여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일본의 임금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남성은 연령이 오를 때마다 임금도 우상향 하는 경향이 있으며, 제일 높은 연봉을 받게 되는 55~59세에는 평균 연봉 5,041,200엔(한화 약 5,000만 원)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면 여성은 50~54세가 최고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고 연봉은 3,296,400엔(한화 약 3296만 원)이었는데요. 30대부터 임금 상승이 남성에 비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남녀의 임금을 비교하면, 30대부터 연수입의 차이가 크게 나기 시작하여,  55~59세가 연수입의 차이가 가장 크게 되어, 월 149,000엔(한화 약 149만 원),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1,790,000엔(한화 약 1790만 원)의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30대의 남성은 사원에서 그 이상의 직책으로 승진하여 임금이 오르는 타이밍인데요. 이 시기의 일본의 여성은 결혼이나 출산 등으로 일을 관두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는 타이밍입니다. 그리고 한 번 퇴직한 여성은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등 단시간 저임금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에서는 여성 비율이 높은 직종이 저임금인 것도 요인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데요. 예를 들어, 일본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보육사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후의 항목에서도 해설합니다만, 보육사의 평균 월수입은 26만 엔인데요. 일본 전체의 평균 월수입과 비교해도 낮은 임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정규직 직원이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어, 평균 임금이 더욱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 정규 비정규직의 평균 연봉과 연봉 중앙값

일본의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연봉차이가 표로 나와 있는 그림
정규직(파란색), 비정규직(진한 파란색)의 연봉 차이

나이 정규/비정규직 평균 연봉 정규/비정규직 연봉 중앙값
19세 이하 216/192 208/185
20대 초반 258/229 220/195
20대 후반 299/266 242/215
30대 초반 339/301 248/220
30대 후반 379/337 257/228
40대 초반 412/366 254/226
40대 후반 438/389 255/226
50대 초반 470/418 251/223
50대 후반 476/423 254/226
60대 초반 393/349 289/257
60대 후반 355/315 260/231
70세 이상 339/301 250/222

위 표에서 일본의 정규·비정규직의 연봉 차이를 알 수 있는데요. 왼쪽에 정직원, 오른쪽에는 그 이외(비정규 사원 등)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정규직과 비 정규직의 연봉 차이는 20대 후반부터 꽤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임금차이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는 55~59세로, 정사원이 4,764,000엔(한화 약 4764만 원)인 것에 비해, 그 이외의 비정규직 등은 2,546,400엔(한화 약 2546만 원)으로 거의 2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정사원·정직원의 그래프는 55~59세까지 계속해서 우상향인 것에 비해, 비 정규직의 그래프는 35~39세 이후 연봉이 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일본에서의 비정규직원의 월급이 가장 높은 시기는 30대이며, 그 이후에는 점점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최근에는 비정규직의 고용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요. 그러나 30대 이후의 성장 고민을 생각하면, 역시 정규직으로 회사를 들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IT 경력직으로 이직을 하신다면 사내추천 제도를 활용하게 가장 손쉽게 이직을 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일본 직종평균 급여 /중앙평균 상여금

직업 평균/중앙값 연봉 상여금
의사 1121/997 76만엔
대학교수 804/715 297만엔
굴착·발파공 601/534 52만엔
부동산 감정사 584/519 156만엔
변호사 576/512 139만엔
공인회계사, 세무사 571/508 122만엔
대학 강사 568/505 150만엔
치과 의사 559/497 24만엔
일급 건축사 554/493 145만엔
자연과학계 연구자 545/485 143만엔
기술사 531/472 143만엔
고등학교 교사 528/469 179만엔
수의사 514/457 60만엔
약사 485/431 82만엔
각종 학교·전수 학교 교원 422/375 77만엔
사회보험노무사 412/366 83만엔
배관공 410/364 55만엔
철근공 409/364 45만엔
간호사 401/356 80만엔
목수 398/354 31만엔
기계제도공 396/352 81만엔
전기공 394/350 81만엔
디자이너 377/335 70만엔
트위터 376/334 22만엔
용접공 374/332 63만엔
철공 370/329 72만엔
자동차 정비공 365/324 77만엔
토공 364/323 36만엔
프로그래머 364/323 57만엔
개인교사, 학원·예비교 강사 355/315 44만엔
치과기공사 354/315 32만엔
보험 외교원 351/312 53만엔
택시 운전사 345/307 17만엔
준 간호사 340/302 64만엔
개호 지원 전문원(케어 마네) 330/293 61만엔
치과 위생사 323/287 47만엔
보일러공 322/286 52만엔
조리사 313/278 34만엔
워드 프로세서 운영자 304/270 48만엔
경비원 300/267 28만엔
엔터테인먼트 접객원 299/266 27만엔
영양사 297/264 59만엔
빵·양생 과자 제조공 296/263 38만엔
보육사(보모·보부) 295/262 69만엔
유치원 교사 293/260 73만엔
수위 293/260 42만엔
복지시설 개호원 292/259 52만엔
판매 점원 (백화점 점원 제외) 290/258 36만엔
홈 도우미 288/256 38만엔
통신기기 조립공 285/253 48만엔
급사 종사자 284/252 19만엔
백화점 점원 280/249 40만엔
간호 보조자 259/230 42만엔
키펀처 257/228 31만엔
씻기공 250/222 18만엔
건물 청소원 244/217 18만엔
슈퍼점 체커 231/205 15만엔
재봉틀 봉제공 204/181 11만엔
 

일본의 직업별 연수입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조사한 『영화원년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에 따르면 평균임금 1위는 의사로 월수입 934,400엔(한화 약 934만 원), 연수입으로 11,212,800엔(한화 약 1억 1천만 원)입니다. 2위는 대학 교수로 연수입 8,041,200엔(환화 약 8,000만 원)이었습니다.

3위의 굴착·발파공은 터널 공사, 댐 공사 등을 실시하는 직업입니다. 발파 기사는 일본 국가 자격으로 합격률은 약 50%인데요. 최근에는 수요가 줄어들고 있습니다만, 대형 공사 현장등에서 높은 급여를 얻을 수 있는 직종인 것 같습니다.

상위를 보면 의사나 변호사, 세무사, 교육 관계 등 국가 자격이 필수인 직종이나 시스템 엔지니어 등의 IT계 직종이 눈에 띄는데요. 높은 임금을 목표로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직종에 관련된 자격을 가지는 편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일본에서 가장 간단하게 IT 기업에 취직하는 것은 사내추천 제도를 활용하여 기업에 들어가는 것인데요. 일본 취업을 생각하신다면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한편 연봉이 낮은 직업을 보면, 개호 직원, 홈 헬퍼 등의 복지 관련 직업과 판매 점원이나 슈퍼마켓의 매대 등의 서비스업, 유치원 교사나 보육사 등의 아동 복지 관련 직종들이 눈에 띕니다. 일본에서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복지계 직종은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만, 여전히 임금이 낮습니다..

직종에 따라서는 급여 평균이 일본의 평균 임금, 중앙값을 크게 밑돌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일본에서의 직종 선택은 임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지역별 평균 연봉과 연봉 중앙값 랭킹표

지역 평균 연봉 평균 중앙값
도쿄 448 399
가나가와 402 357
오사카 384 342
아이치 376 335
교토 372 331
지바 362 322
사이타마 361 322
시가 361 322
효고 361 322
이바라키 361 321
나라 355 316
히로시마 353 314
삼중 353 314
도치기 349 311
시즈오카 348 310
기후 346 308
도야마 345 307
야마나시 344 306
군마 343 305
이시카와 342 304
나가노 340 302
후쿠오카 339 302
미야기 338 301
가가와 337 300
야마구치 335 298
와카야마 333 296
오카야마 332 296
후쿠이 329 292
홋카이도 327 291
도쿠시마 324 288
후쿠시마 320 285
구마모토 314 280
오이타 314 279
에히메 312 278
니가타 311 277
돗토리 309 275
시마네 308 274
가고시마 307 273
나가사키 306 272
사가 306 272
고치 305 271
오키나와 303 269
야마가타 302 269
미야자키 298 265
아키타 296 263
이와테 295 262
아오모리 288 256

일본의 각 지역별 평균 연수입은 3,692,400엔이었는데요, 이것을 넘는 초과하는 연봉은【도쿄도·가나가와현·아이치현·교토부·오사카부]의 5개 지역이었습니다. 또한 중앙값은 카가와현에서 3,378,000엔입니다. 임금 톱은 도쿄도 4,483,200엔(한화 약 4483만 원)으로, 중앙값의 가가와현과의 차이는 1,105,200엔, 최하위인 아오모리현과는 1,597,200엔의 차이가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어느 지역에서 일하는지에 따라 수입과 라이프 플랜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물가나 주거비도 다릅니다만, 가전제품 혹은 의류등의 가격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에서 일을 한다면 역시 도쿄등의 수도권 및 평균 임금이 높은 지역에서 일을 하는 것이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한편, 최근 일본에서는 텔레워크(재택근무)나 노매드 워크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지방에 살면서 생활비를 줄이면서, 사무실 등을 갖추지 않고 일을 하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IT나 네트워크 비즈니스 등은 PC 한 대 있으면 일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코로나 등으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된 일본에서는 이런 식으로 일하고 인원 등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것도 사실인데요. 다만 본사등은 도쿄 혹은 인근의 본사로 지정을 한 다음에 이후 재택으로 근무하는 형태가 보편적입니다.

 

세계 평균 연봉 및 연봉 중앙값 순위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한 OECD 회원국의 평균 연수입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ECD국가별 평균 임금
OECD 국가별 평균 임금이 일본어와 함께 표로 나와있다.

국가 평균 연봉 연봉 중앙값
미국 732 556
아이슬란드 712 541
룩셈부르크 695 528
스위스 684 520
네덜란드 621 472
덴마크 616 468
노르웨이 588 447
캐나다 584 444
호주 582 443
벨기에 573 436
독일 567 431
오스트리아 561 426
아일랜드 522 397
불가리아 497 378
스웨덴 496 377
핀란드 488 371
프랑스 481 365
뉴질랜드 478 363
한국 443 336
슬로베니아 437 332
이스라엘 415 315
일본 406 309
스페인 400 304
이탈리아 398 303
폴란드 343 261
리투아니아 336 255
에스토니아 324 246
체코 315 240
라트비아 315 240
포르투갈 300 228
그리스 287 218
칠레 282 214
헝가리 268 204
슬로바키아 249 189
멕시코 171 130

현재 이 자료는 OECD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달러 115엔(한화 1150원)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평균 연수입 406만 엔으로 OECD에 가맹하고 있는 35개국 중 23위였습니다. GDP 순위 세계 2위의 일본이라는 이미지와는 꽤나 다른 사실에 놀라셨을 수도 있겠습니다. 일본의 실질 GDP 등을 참고하면 도움이 되실 수 있겠습니다.

1위부터 순서대로 살펴보면 '미국',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등 구미 국가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1위의 미국은 69,391달러, 일본 엔으로 환산하면 약 730만 엔(한화 약 7300만 원)으로, 이것은 OECD 평균의 약 519만 엔(한화 약 5190만 원)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아시아 전체로는 우리나라 '한국'이 443만 엔으로 20위에 랭크되고 있으며, 현재는 일본보다 우리나라의 평균 임금이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십 년간 지속된 일본의 디플레이션이 때문인데요. 일본의 임금이 수십 년에 걸쳐 거의 상승하지 않은 것입니다. 각 OECD별로 임금 상승률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과거 20년간의 OECD국가의 임금 상승률 표
2020년 기준 세계 평균 임금 상승%

국가 1977년 임금 기준 2020년 임금 상승률
호주 1.00 1.24
벨기에 1.00 1.13
캐나다 1.00 1.30
덴마크 1.00 1.29
프랑스 1.00 1.27
독일 1.00 1.22
한국 1.00 1.46
룩셈부르크 1.00 1.25
네덜란드 1.00 1.11
노르웨이 1.00 1.56
스웨덴 1.00 1.47
스위스 1.00 1.21
미국 1.00 1.32
아이슬란드 1.00 1.56
일본 1.00 1.02

이 그래프는 1997년부터 2020년까지의 임금 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인데요. 맨 아래의 붉은 굵은 선이 일본입니다.
약 20년에 걸쳐서 우리나라, 미국, 유럽 등은 월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거의 상승하지 않고, 심지어 마이너스를 기록한 연도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임금이 오르지 않는 원인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 인구 감소와 비정규직의 고용 확대 등이 있습니다. 일하는 사람이 줄어들고, 저임금으로 일하는 비정규 노동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평균 연봉이 계속해서 제자리걸음이었던 것인데요. 다만 최근 일본에서도 물가상승이 시작된 만큼 월급이 오를 거라는 기대가 사회 전반에 걸쳐서 있습니다. 물론 일본정부에서도 임금 인상을 해라고 일본 기업들에게 계속해서 압박을 넣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이렇게 일본의 2023년 평균 연봉과 연봉의 중앙값을 알아보았습니다. 일본 취업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다른 일본 취업 관련 자료를 아래에서 더욱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IT 취업 가장 빠르고 손쉽게 하는 추천 방법

일본에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비자, 기술, 일본어 능력등)~!

일본 취업 사이트 TOP3 소개

그럼 여러분의 하루가 더욱 행복해지기를 기원하면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